연구센터소개

Research center

대학ICT연구센터

탄소중립 미래자율통신 연구센터

제1세부 과제 :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효율적 자율 알고리즘 개발 제2세부 과제 : 저궤도 위성 및 지상 네트워크에서의 탄소중립을 위한 통신원천기술 연구 제3세부 과제 : 탄소중립을 위한 위성-공중-지상 통합망 기반 무선 전송 기술 및 Edge 클라우드 연구 제4세부 과제 : 탄소중립을 위한 에코 모빌리티/물류 시스템 응용

고려대학교

김중헌

차세대 스마트팜 ICT 융합기술 연구센터

스마트팜 (온실, 식물공장, 축산) 분야

공주대학교

김락우

스마트군수혁신융합연구센터

스마트군수혁신융합분야의 창의융합 핵심 연구인력 양성 스마트군수혁신융합 산학공동연구 군수분야의 군인력감소, 효율성, 가동율에 대한 국가적 문제를 기술적으로 도전을 추진하는 혁신도전형 과제 수행(주요연구: Resilient 군수 지원을 위한 전자 증빙 및 디지털 트윈,CBM+, 항공 MRO, 로봇, 초분광(혁신도전))

금오공과대학교

이재민

위성영상분석ICT연구센터

위성 레이더 및 데이터 준 실시간 가공 및 분석 기술 개발을 통해 3D 실감형 지도 및 응용기술 개발

국립창원대학교

권오설

온센서 AI 반도체 연구센터

미세유체, 전기화학센서, UV 센서, 집적회로, 인공지능

금오공과대학교

장영찬

초연결 기반 협력형 무인자율이동체 연구센터

무인이동체, 모듈러 로봇, 차세대 무선 통신, 협력-능동형 인지 기술

금오공과대학교

신수용

Open-ended Alignment 인공지능 연구센터

본 사업단은 4개의 O.P.E.N. (Out-thinking AI, Principled AI, Evidential AI, Nuanced AI)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 그룹을 조직하고, 각 연구팀은 관련분야의 핵심전문가 및 다학제 연구진으로 구성하였음 이를 통해 변화하는 사회에서 지속발전 가능한 Open-ended Alignment AI 원천기술을 확보함과 동시에 세계적으로 해당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글로벌 연구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

성균관대학교

이지형

UAM-eVTOL 융합 연구센터

우주항공, 자율주행, 기술 융합

세종대학교

홍성경

초광역 연합 의료 AI 연구센터

의료기관 내부(의료데이터)와 외부(라이프로그) 데이터 통합 구축 플랫폼을 통해 초광역적으로 심·뇌혈관질환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연합학습을 통해 분산된 데이터 기반으로 의료 AI 모델을 학습시키며 심뇌혈관질환에 잠재되어있는 인과관계를 추론하여 복합질환 예후를 예측함으로써 질환의 예방, 진단, 치료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전남대학교

양형정

탄소중립 ESG ICT 연구센터

건물, 수송, 농업, 에너지 등 다양한 도메인에 대한 세부별 ICT 기반 탄소중립 핵심기술 연구개발 생산-제조/관리-수송-폐기/재활용 전 과정에서의 탄소감축 활동 추적 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기반의 탄소 통합 관리 플랫폼 연구개발 ESG 현황과 미래 가치를 통찰할 수 있는 CN-ESG 아키텍쳐 설계 및 평가모델 연구개발

중앙대학교

박세현

VIACOMM 연구센터

전파 센싱 응용, 레이다/센싱, 전파기반 디바이스, 전파부품, 전파계측, 전파분석/해석

충남대학교

김철영

XR 워크스테이션 HCI 기술 연구센터

기존의 실제 공간에서의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한 내춰럴 공간 인터페이스, XR 워크스테이션에 특화된 신개념 상호작용 장치 및 상호작용 테크닉, XR 워크스테이션을 통하여 다수 사용자가 협업하는 상황에서의 문제, 보다 다양한 사용자와 다양한 일상 활동에 XR 워크스테이션을 적용하기 위하여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포함하여 일상적인 생산성 활동을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게 하는 XR 워크스테이션 실현을 위한 공간 컴퓨팅 HCI 핵심 기술

KAIST

이기혁

양자기술 플랫폼 연구센터

양자물질 분석 방사광 가속기 빔라인 설계 및 이미징 기술, 양자센서기반 양자시스템 연구 및 응용기술 개발, 초고속/고해상도 양자이미징 원천기술 개발, 양자정보 응용 이론 플랫폼 개발

충북대학교

김기웅

배리어프리 ICT기술 연구센터

청각장애인을 위한 일상생활 보조 실시간 양방향 수어 동시통역 멀티모달 AI 기술 개발 지체장애인을 위한 멀티모달 주변 상황 및 개인 의도 인식기반 일상생활보조 로봇시스템 개발 시각장애인을 위한 로봇 안내견 기반 네비게이션 및 다감각 인터랙션 시스템 개발 인지장애인을 위한 일상적 대화-행동기반 인지기능 케어 및 보조 플랫폼 개발

단국대학교

최용근

데이터프라이버시연구센터

데이터 민감정보 기반 연구

중앙대학교

장항배 교수

6G 무선통신 글로컬 연구센터

1) 6G 무선통신 표준화의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산·학·연 전문가들과 공동 융합연구를 수행함 2) 3GPP 또는 IEEE를 비롯한 국내외 표준화 회의에 참여교수와 학생들이 직접 참석하여 표준화 활동을 병행 3) 최종적으로 실제 5G-A/6G 표준화에 반영될 수 있는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지식재산권을 확보하여 기술이전에 도전함

한밭대학교

이경재 교수

AI-LIVE 연구센터

Virtual ER의 개발과 구현 고도화된 웨어러블 기술의 의료화 멀티모달 AI 진단 시스템의 개발 Emergency Assistant AI 솔루션의 창조 리빙랩 및 응급의료 체계 정책 연구 웨어러블 ECG를 활용한 심정지 예측 AI 모델

경희대학교

이진석 교수

범용 인공지능 연구센터

복합지능-학습/인지, 학습지능-학습능력강화, 단일지능-안전한AI 등

고려대학교

이성환 교수

딥페이크 연구센터

인공지능, 산업보안/융합보안, 서비스/응용보안

성균관대학교

한진영 교수

데이터 기반 지능형 모빌리티 연구센터

첨단로봇모빌리티 분야

경북대학교

백낙훈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