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업

Participating Project.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연구센터

고려대학교 센터장 : 김성철 교수

센터소개

설립 목적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연구센터(SSRC)는 OTT(Over-The-Top)를 포함한 스마트미디어 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대응하여 우리나라 미디어 생태계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최고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집단(Think Tank)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본 연구센터는 데이터 사이언스, 미디어 산업 분야에서 역량을 갖춘 석박사급 핵심 연구 인력을 양성하고, OTT 기반 기술, 지능 기술, 데이터 사이언스, 플랫폼, 콘텐츠를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진행하며, 학제 간, 세대 간, 지역 간, 산학 간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미디어 생태계 발전에 일조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과 정책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미디어 기술에 대한 이해, 생태계에 대한 데이터 분석 그리고 시장과 정책에 대한 사회과학적 인사이트를 두루 갖춘 글로벌 수준의 연구진을 양성하고자 한다.

연구 기간

2020-07-01 ~ 2025-12-31

연구 분야

OTT 서비스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반기술(서비스 기반기술 개발, 사용자 이동성 기반 전송 기술 개발, 유해 콘텐츠 탐지/변조 분석), 지능기술(AI기반 콘텐츠 예측, 영상 화질 개선), 데이터 사이언스(기술, 사업, 소비자 애널리틱스), 플랫폼(국내외 경쟁현황, 활성화 정책, 정통 미디어 대체보완 관계), 콘텐츠(콘텐츠 제작, 콘텐츠 상품, 콘텐츠 기반 IP 전략)에 대한 세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센터 내 공동연구 및 외부 기관과 협업하고 있다.

연구 인력

대학 교수참여 학생

전임연구원

산학협력

중점교수

산업체

기타

(연구원,연구교수)

합계
학부석사박사
12130242-2-74

참여기업
연구목표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생태계 발전을 위한 글로벌 수준의 전문가 연구집단 (Think Tank)을 지향

세부 과제

  • 01
    • OTT 방송통신 기반기술 연구
      • 이용자 중심의 OTT 서비스의 이동성 인지와 서비스의 체감품질 제고를 위한 방송통신 기반기술에 대한 연구
      •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술의 현실성을 검증하고, 실제 OTT 사업자들에게 설득력이 있는 시공간적 맥락의 콘텐츠 소모 패턴을 분석하는 연구
      • OTT 무선전송을 위한 밀리미터파 대역 송수신기를 설계하고 초고속 저지연무선 통신에 관한 연구
      • AI 기술을 기반으로 유해 동영상을 탐지하거나 Deep fake 영상들의 변조사례를 분석하는 연구
  • 02
    • OTT 서비스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기술 연구
      • 인공지능 내용 분석 기반 OTT 미디어 콘텐츠 제작 및 실시간 예측 기술 개발 관련 연구
      • 인공지능 기반 영상 화질 분석 기술 및 영상 열화 개선 기술 개발 관련 연구
      • 핵심기술의 적용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개념증명(Proof-of-concept)을 구현하기 위한 S/W, H/W 기반 플랫폼 개발
  • 03
    • 스마트미디어 기술과 플랫폼 시장의 진흥 정책 연구
      • 기술 애널리틱스연구, 소비자 애널리틱스연구, 기업 애널리틱스연구를 통한 OTT 기술과 시장에 관한 연구
      • 기업과의 연구협력을 통해 확보한 차별화된 OTT 관련 데이터와 데이터사이언스방법론을 활용한 연구
      • OTT 서비스 시장 내 경쟁구조의 역동성 분석 관련 연구
      • 미디어 플랫폼의 경쟁관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연구
  • 04
    • OTT 콘텐츠 제작 및 상품 관련 연구
      • OTT 중심의 스마트미디어 기반 콘텐츠 제작, 콘텐츠 상품의 현황, 콘텐츠 기반 IP전략등을 분석한 연구
      • 스마트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작자와 이용자의 인식 파악을 위한 질적분석(포커스 그룹 인터뷰, 심층면접 및 참여연구)과 양적분석(설문조사, 실험연구, 빅데이터분석)연구
      • 국내 OTT 콘텐츠의 현황과 글로벌 전략분석 및 정책제안
      • 스마트미디어 콘텐츠 기반 IP 전략 주요 사례 연구

연구수행 방법

 


 


 

기대 효과

  • 산업적 효과
      • ICT 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 디지털 경제 주요 기반 구축
      • DNA 기반 스마트 대한민국 구축
  • 기술적 효과
      • 국내기술의 세계표준화 전략 일조
  • 고용 효과
      • 고급연구인력 수급 질적 불일치 해소 및 산업계 고용 연계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