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업

Participating Project.

일상-항시적 건강 관리 Earable-IoT 연구센터

KAIST 센터장 : 송준화 교수

센터소개

설립 목적

본 센터에서는 이어러블(Earable)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건강·의료 분야의 웨어러블 플랫폼을 설계, 개발하고 이 과정을 통해서 관련 분야의 연구·교육에 있어서 주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 또한, IT 기반의 건강·의료 분야의 주도성을 확보하기 위해 △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로부터 일상형 서비스 제공에 이르는 △ 그리고 초소형 IC/HW 설계로부터 SW 플랫폼/서비스까지를 아우르는 연구의 기반을 구축한다. 더 나아가, IT 기반의 건강·의료 분야의 교육 및 연구의 토대를 만들기 위해 국제적 IoT-헬스케어 산학 공동연구 네트워크 및 현장 테스트 베드를 개발한다.

연구 기간

2020-07-01 ~ 2025-12-31

연구 분야

일상-항시적 건강관리 Earable-IoT 플랫폼 연구개발 및 고급인력 양성

연구 인력

대학 교수참여 학생전임연구원

산학협력

중점교수

산업체

기타

(연구원,연구교수)

합계
학부석사박사
602128100258

참여기업
에스비솔루션 기업 소개
  • UNIST 변영재 교수가 창업한 스마트 바이오 센서 솔루션 스타트업
  • 본 과제 수혜 학생인 김성문 연구원이 졸업 후 참여기업에 취업 예정
사업 영역
  • 3세대 CGSM - 매번 바늘로 혈당을 체크해야 하는 시스템이 아닌 채혈을 통하지 않고 한번 삽입으로 장기간 이용이 가능한 연속혈당측정시스템(CGMS) 개발
에타 일렉트로닉스 기업 소개
  • 본 과제에 참여하는 카이스트 전자과 유종원 교수 졸업생 여태동 박사가 KAIST 생물학과 남정용 박사와 창업한 전력 전송 하드웨어 솔루션 스타트업
사업 영역
  • 전자기장을 실시간 변화시켜 어떠한 환경에서도 최적의 무선전력전송을 구현하는 차세대 무선충전 기술 개발
이치텍터 기업 소개
  • 총괄책임자 KAIST 송준화 교수가 논문지도한 카이스트 전산학부 이종인 박사가 학위논문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기술 창업한 스타트업
사업 영역
  • 웨어러블 기반 긁음 행위 인식 시스템, AI 기술, 웨어러블 하드웨어 개발
  • 아토피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웨어러블 기반 healthcare 시스템 및 서비스 운영
연구목표

일상-항시적 건강관리를 위한 Earable-IoT 플랫폼 개발, IoT 기반 Healthcare 산업을 주도하는 선도적·다학제적 인재 양성

세부 과제

  • 01
    • [IC시스템] Earable-IoT용 지능형 저전력 Bio IC 시스템
      • 다중 생체 신호 분석 및 센서 인터페이스 회로 제작
      • Earable 바이오 센서 인터페이스 및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제작
      •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earable device prototype 제작
  • 02
    • [HW플랫폼] 헬스케어를 위한 지능형 Earable-IoT 디바이스 및 센서 플랫폼
      • 일상 건강 측정을 위한 센서 연구 및 HW 플랫폼 연구
      • 환경적응형 다중 센서 시스템 및 HW 플랫폼 확장
      • 확장결합형 HW 플랫폼 통합 및 검증
  • 03
    • [SW플랫폼] Earable-IoT 중심의 일상형 헬스 모니터링 SW 플랫폼
      • 다중 센서 기반 헬스 모니터링 AI 모델 개발
      • 동적 자원상황 인지형 협력적 AI 추론 런타임 개발
      • Earable-IoT 환경 맞춤형 AI 모델 고도화 기술 개발
      • 손쉬운 일상형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을 위한 API 제작
  • 04
    • [서비스] IoT 기반 사용자-밀착형 건강관리 서비스 사례 연구 및 테스트베드 구축
      • 건강지표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 조사를 통한 Earable 기능 보완
      • Earable-IoT 기능/성능 평가 및 현장 실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 사용자-밀착형 건강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 및 개발
  • 05
    • [혁신도약] Earable-IoT 기반 사용자 맞춤형 혈당 관리 시스템
      • Earable 기반 초소형·저전력·고정확도 비침습적 혈당 모니터링 디바이스 탐색
      • 혈당 위험/영향 행위 탐지 기술 개발 및 고도화
      • 건강 관심 그룹 기반의 협동적 당뇨 관리 서비스 사례 개발

연구수행 방법

 


 

기대 효과

  • 건강생활습관 관리
      • 식이 : 식사, 식품, 보충제
      • 활동 : 활동량, 수면
      • 건강행태 : 음주, 흡연
      • 스트레스 : 사회관계, 직장소통(고객, 동료, 상사)
  • 고위험군 조기발견·관리
      • 생체지표 관리 : 고혈압, 고지혈증, 고혈당
      • 스트레스 관리 : 심전도, EEG, EMG 등
  • 커뮤니티(보건소, 외래) 케어
      • 생체지표 지속 모니터링 및 관리
      • 질환 특화 건강관리 프로그램
      • 스트레스 관리
      • 건강생활습관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