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업

Participating Project.

초지능 통신/컴퓨팅 융합 연구센터

KAIST 센터장 : 강준혁 교수

센터소개

설립 목적

미래 이동통신의 진화 과정은 총 3단계로써 1단계는 초연결, 2단계는 지능형, 3단계는 자율형 단계로 구성되며, 현재는 1단계에서 2단계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해당한다. 최종 단계인 자율형 단계에서는 사물 간의 협업 및 자율처리가 가능해지며 초지능 서비스 생태계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미래 이동통신 기술은 세 가지 핵심 요소 기술로 구성되며, 각각의 기술은 1) IoT(Internet of Things)를 넘어 BoT(Battery of Things) 시대를 대비하는 초저전력 통신 기술, 2) 프라이버시 보호가 보장되는 고신뢰/저지연 무선 컴퓨팅 기술, 3) 변화하는 네트워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엣지 컴퓨팅 기반의 연합 학습 기술이다. 본 센터의 주된 설립 목적은 ‘초지능 서비스 지원을 위한 미래 이동통신 핵심 기술 개발 및 인력 양성’이며, 특히 다양한 기술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형 전문 인재를 육성하여 배출 인력의 고용 및 창업에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자 한다.

연구 기간

2020-07-01 ~ 2025-12-31

연구 분야

초지능 서비스를 위한 통신/컴퓨팅 융합 혁신 기술 개발

연구 인력

대학 교수참여 학생

전임연구원

산학협력

중점교수

산업체

기타

(연구원,연구교수)

합계
학부석사박사
742744--5289

참여기업
㈜슈프리마 기업 소개
  • 세계 최고의 바이오 인식 기술 보유, 바이오 인식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보안 솔루션 및 보안 시스템을 제조, 판매 하는 바이오 인식-보안 전문 기업
  • 세계 바이오 인증 보안 시장 점유율 2위, EMEA(유럽 및 중동.아프리카) 점유율 1위,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세계 50대 보안 제조사, 100개국 이상 1,000여개 고객사 및 파트너사 보유
사업 영역
  • BioStar System 사업부: 출입 보안 및 근태 관리를 위한 지문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시스템의 개발 및 공급.
  • Biometrics Solution 사업부: 바이오인식 핵심 기술 기반의 응용 솔루션 및 제품 개발·공급, 스마트폰용 지문 인식 알고리즘 솔루션(BioSign) 공급, 지문 인식 모듈(SFM) 제품의 개발 및 공급
㈜비햅틱스 기업 소개
  • 시청각뿐만 아니라 촉각을 원격으로 전달할 수 있는 차세대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을 목표로 하는, 촉각 전달 기술에 관련된 HW/SW 연구 개발 업체
  • 촉각 전달 기기(Haptic Suit)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2021 CES Innovation Award 수상
사업 영역
  • VR/AR, Gaming, Entertainment등에 적용 되는 촉각 전달 기기 Tactsuit 개발
밀리트랙(주) 기업 소개
  • 작동 거리 1.2km, 정확도 2cm (3D) 세계 최고 장거리/고정밀 측위 기술 보유. AAx2 배터리 수명 20년으로, 장시간 모니터링 기능. 날씨, 분진, 조도 환경에 강인하여 다양한 실내외 동작. KAIST Spinoff 기업으로 `24 KAIST 14대 미래 기술, `23-`24 Research Highlight 선정, `25 총장상 수상 기업
사업 영역
  • 공정 자동화, 로봇 관제 및 programming by demonstration,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 등, 다양한 실내외 환경에서 실시간 제어 및 장기간 모니터링을 위한 측위 솔루션 제공
연구목표

초지능 서비스를 위한 통신/컴퓨팅 융합 혁신 원천 기술 확보 및 서비스 개발, 미래 이동통신/컴퓨팅 융합 인력 양성 및 기술이전/창업 활성화

세부 과제

  • 01
    • 이동체를 지원하는 초저전력 통신을 위한 IRS(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 및 low-resolution ADC(Analog-to-Digital Converter)/DAC 기반 통신 시스템 연구
      • IRS를 포함한 고정/이동 채널 모델링 및 추정 기법
      • IRS 및 low-resolution ADC/DAC를 고려한 다중 사용자 빔포밍 기법
      • IRS-이동체 기반 네트워크 형성 기법 연구
      • 3차원 네트워크에서 이동체 지원을 위한 지능형 송수신기 설계 기법 연구
  • 02
    •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보호하며 높은 신뢰도를 갖는 무선 컴퓨팅 기술 개발
      • 프라이버시 강화 데이터 전처리, 피드백 및 컴퓨팅 기술 개발
      • 저지연 인공지능 서비스를 위한 무선 분산 연산 처리 기술 개발
  • 03
    • 엣지 컴퓨팅, 연합학습, 메타러닝을 고려한 지능형 통신 시스템 개발
      • 분산형 이동통신 환경을 고려한 저전력 엣지 컴퓨팅 기술 연구
      • 미래 이동통신을 위한 연합학습 기술 연구
      • 통신/컴퓨팅 통합 통신 프로토콜 개발 연구 및 성능 분석
  • 04
    • 미래 이동통신 초지능 융합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 미래 이동통신 기반의 대표적인 초지능 융합서비스 선정
      • 각 서비스별 비즈니스 모델 및 사업화 전략 제시
  • 05
    • 초저전력으로 작동하는 대규모 고밀도 밀리미터파 백스캐터 통신 PoC(Proof of Concept) 개발
      • 밀리미터파 백스캐터를 이용한 장거리/대규모 통신 연구
      • 대규모 고밀도 환경에서의 inter/intra-network 채널 공유 기법 연구
      • B5G 통신(28GHz)와 특성이 유사하며, 밀리미터파에서 제공되는 ISM 밴드인 60GHz 대역 WiFi(802.11ad/ay) 등 통신 표준 장비와의 결합 연구
      • 밀리미터파 백스캐터 PoC 시스템 구현

연구수행 방법

 


 

기대 효과

  • 창업가능한 융합형 전문 인재 양성
      • 초지능 서비스 및 미래이동통신 분야에 특화된 전문 인재 양성
      • 비ICT 및 ICT 융합교육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인재 양성
  • 국가 경쟁력 제고
      • 미래 이동통신 장비·단말 분야에서 국가 경쟁력 확보
      • 원천기술 지식재산권 및 표준기술 확보
      •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인력양성 시스템을 통해 지속가능한 인재 양성 플랫폼 구축
      • 국자주도 융합인재 양성 프로그램의 롤 모델 제시
      • 기술집약형 신생 기업 배출
  • 배출인력의 산업체 고용연계, 창업지원
      • 고용연계를 통한 인재수급의 질적 불일치 해소
      • 창업을 지원하여 신생기업의 인력 채용에 의한 고용창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