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업

Participating Project.

인공지능그랜드ICT연구센터

동의대학교 센터장 : 정석찬 교수

센터소개

설립 목적

동남권 지역산업 수요기반의 인공지능 기반 지능화 혁신 융합기술 개발 및 전문인력양성을 통한 동남권 전략산업육성 및 신성장 동력 확보

연구 기간

2020-07-01 ~ 2027-12-31

연구 분야

AI+X 3개 산업 분야(AI 스마트 항만·물류/ AI 제조·로봇/ AI 스마트시티)

연구 인력

대학 교수참여 학생전임연구원

산학협력

중점교수

산업체

기타

(연구원,연구교수)

합계
학부석사박사
15162495114993

참여기업
엔지엘주식회사 기업 소개
  • 대표자: 권해경
  • 설립 연월일: 2008.12.01
  • 상시종업원 수: 18명
  • 전년도 매출액: 1,703백만 원
사업 영역
  • 해운, 항만, 물류 S/W
㈜글로비트 기업 소개
  • 대표자: 김형수
  • 설립 연월일: 2011.12.28
  • 상시종업원 수: 39명
  • 전년도 매출액: 5,223백만 원
사업 영역
  • 전자부품 외
㈜로보원 기업 소개
  • 대표자: 이옥희
  • 설립 연월일: 2020.02.10
  • 상시종업원 수: 27명
  • 전년도 매출액: 2,709백만 원
사업 영역
  • 산업용 로봇
엔컴㈜ 기업 소개
  • 대표자: 오명호
  • 설립 연월일: 2000.09.26
  • 상시종업원 수: 105명
  • 전년도 매출액: 19,204백만 원
사업 영역
  • 소프트웨어개발 및 공급업
삼성중공업㈜ 기업 소개
  • 대표자: 최성안
  • 설립 연월일: 1974.08.05
  • 상시종업원 수: 9,640명
  • 전년도 매출액: 8,009,429백만 원
사업 영역
  • 선박에너지플랜트 생산/판매, 토목 건축업
㈜광성계측기 기업 소개
  • 대표자: 임진규
  • 설립 연월일: 1979.10.15
  • 상시종업원 수: 70명
  • 전년도 매출액: 14,000백만 원
사업 영역
  • 계측기, 충전장치류, 자동차부품 외
㈜메타뷰 기업 소개
  • 대표자: 김배진
  • 설립 연월일: 2009.02.24
  • 상시종업원 수: 40명
  • 전년도 매출액: 4,985백만 원
사업 영역
  • 소프트웨어개발 외
㈜크리스틴컴퍼니 기업 소개
  • 대표자: 이민봉
  • 설립 연월일: 2019.07.30
  • 상시종업원 수: 38명
  • 전년도 매출액: 1,050백만 원
사업 영역
  • 응용소프트웨어개발 제조
㈜리쎄코리아 기업 소개
  • 대표자: 엄정은
  • 설립 연월일: 2021.03.07
  • 상시종업원 수: 5명
  • 전년도 매출액: 1,067백만 원
사업 영역
  • 가정용 전가기기
테스원 주식회사 기업 소개
  • 대표자: 이승훈
  • 설립 연월일: 2021.01.11
  • 상시종업원 수: 5명
  • 전년도 매출액: 434백만 원
사업 영역
  • 기타엔지니어링 서비스
㈜크로노그래프 기업 소개
  • 대표자: 김동우
  • 설립 연월일: 2017.07.18
  • 상시종업원 수: 4명
  • 전년도 매출액: 720백만 원
사업 영역
  • 교육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
㈜나라인포테크 기업 소개
  • 대표자: 권혁철
  • 설립 연월일: 2000.01.20
  • 상시종업원 수: 6명
  • 전년도 매출액: 807백만 원
사업 영역
  • 소프트웨어 개발
㈜플레드 기업 소개
  • 대표자: 정인호
  • 설립 연월일: 2024.09.05
  • 상시 종업원 수: 1명
  • 전년도 매출액: 193백만 원
사업 영역
  • 정보통신업
스토리진 기업 소개
  • 대표자: 김대영
  • 설립 연월일: 2006.02.01
  • 상시종업원 수: 6명
  • 전년도 매출액: 399백만 원
사업 영역
  • 소프트웨어개발
연구목표

부산 지역산업 수요기반의 인공지능 기반 지능화 혁신 융합기술 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부산지역 전략산업 육성 및 신성장 동력 확보

세부 과제

  • 01
    • AI 기반 항만 하역 작업 예측 및 항만 권역 혼잡도 가시화 솔루션 개발
      • 선박 하역 작업완료시간 예측을 위한 데이터 분석 및 전처리 / 항만 권역 혼잡도 예측 AI 모델 설계 및 개발
  • 02
    • AI 기반 3차원 객체 인식 및 추적 기술 개발
      • 컬러 영상과 뎁스 영상을 활용한 객체 인식 AI 기술 개발 / 항만 실내에 강인한 AI 기반 실내 측위 기술 개발
  • 03
    • 제조업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설비 관리 및 운영 효율화 연구
      • 제조 장비 운용 데이터와 고장(정비) 이력 분석 / 제조 장비 데이터 분석을 위한 이상탐지 방법론 개발 및 검증
  • 04
    • 산업용 채널/노즐 유동 모니터링 및 지능형 진단 플랫폼 개발
      • 산업용 채널/노즐 유동 모니터링을 위한 정밀 센서 개발 / 채널 내부에 적용 가능한 유동 센서 제작 기술 개발
  • 05
    • 지능형 모바일 로봇 및 예지보전 시스템 개발
      • VLM 기반 지능형 모바일 로봇 개발 / FPGA 기반 예지보전 하드웨어 가속기 구현
  • 06
    • 인공지능 기반 신발 트렌드 분석 고도화 및 생성형 기반 신발 디자인 창의력 지원 알고리즘 개발
      • 신발 특화 생성형 인공지능용 Segmentation 데이터셋 구축 / 신발 디자인 창의력 지원 도구 히스테리 자동 관리 모듈 개발 및 연구
  • 07
    • 인공지능 기반 소음 저감/생성 기술 개발
      • 실시간 시스템 진동 계측·분석 알고리즘 개발 / 진동 성분 분석 기반 역위상 출력 시스템 설계
  • 08
    • 전기자동차 적용 용접 및 체결 공정 품질 확보를 위한 머신러닝 기반 품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개발
      • 다양한 강종 및 판재 두께 조합에 따른 접합 품질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및 접합 품질 개선을 위한 프로세스 최적화 / REW 및 SPR 공정 접합 품질 결과를 정량화하고 결함 유무에 따라 라벨링
  • 09
    • 아동생활안전을 위한 XAI 기반의 스마트 안전 탐지 기술 개발
      • 영상 및 음성 데이터 통합 학습을 위한 Interpretable Multimodal Attention Layer 개발 / 아동생활 모니터링 데이터와 설명가능한 초거대AI를 이용한 아동생활환경 특화 초거대행동 모형 및 연계 시스템 개발
  • 10
    • 정부 및 지자체 민원에 특화된 거대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기반의 질의응답 시스템 개발
      • 판례 데이터 수집 및 거대언어모델 학습과 검색증강생성을 위한 전처리 / 판례 데이터 전용 검색증강생성 기술 개발
  • 11
    • 의료종사자 등 직무 스트레스 고위험군 대상 ICT 기반 정신건강 관리 및 스마트의료 시스템 개발
      • 심신요법을 활용한 스트레스 관리 기술 효과성 분석 / EBM 기반 의료정보 컨텐츠 및 제공기술 개발
  • 12
    • 서비스 로봇 만족과 기업 만족 간의 관계
      • 서비스 로봇 만족과 기업 만족 간의 관계 규명 / 의인화 수준에 따른 소비자 반응 차이

연구수행 방법

- 부산 ICT 기업의 수요기술과 센터의 인공지능 보유기술 및 협력기업 보유기술 간 매칭을 통한 산업의 공유체계를 구축하여 효율적인 연구를 진행

- 연구개발 기획 지원 및 기술이전, 상용화, 사업화 컨설팅, 애로기술 지도, SW 품질컨설팅, AI SW 품질교육 제공을 통한 지역산업의 혁신 선도

 

 

기대 효과

  • 기술적 측면
      • (해양, 항만 물류산업) 스마트 항만 구축으로 신뢰성 및 서비스 대응력증대, 자원 회전율 상승 및 물류비용 절감
      • (AI제조, 로봇산업) 무인화 기술 개발의 기반 마련, 지역 제조산업 고도화 및 스마트 공장 핵심 기술 확보
      • (AI의료 헬스케어 산업)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플랫폼 기술 확보, 소장 폐색 진단율을 개선하고 진단 정확도를 향상
  • 경제·산업적 측면
      • (AI산업 경쟁력 확보) 세계적인 트렌드에 부합할 수 있는 국내 AI 기술 경쟁력 확보의 기반을 마련
      • (AI기술 상용화를 통한 수익창출) 국내 AI기술 수준을 높이고 AI기술 기반 제품 및 서비스의 조기상용화를 촉진할 수 있는 여건을 확보
      • (타산업과 융합 활성화) AI기술을 기반 ICT 산업과 타산업의 융합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산업과 기술의 경쟁력을 확보
  • 고용적 측면
      • (4차산업 맞춤인재 육성) AI기술 필요성 증가에 따른 고용창출기여
      • (재직자 기술역량 증대) 부산지역 연 20여명 이상의 AI전문인력이 양성
      • (ICT융합분야 일자리 창출) AI수요확산을 통한 전문인력의 양성을 통해 인공지능 ICT융합분야 고용에 기여
      • (기업 맞춤형 고용 창출) 기업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전문인력의 양성으로 기업 맞춤형 고용 창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