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업

Participating Project.

ICT융합특성화 연구센터

금오공과대학교 센터장 : 김동성 교수

센터소개

설립 목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주관으로 경북 및 구미지역의 민‧군ICT지능화융합 산업 생태계 조성에 필수적인 연구개발, 지역산업과 연계한 산업체 기술과제 해결형 교육, ICT융합 분야의 석·박사급 고급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
ICT융합특성화연구센터(ICT-CRC)는 산학협력을 목적으로 4팀 15세부과제와 IT융복합학과, 민군IT융합공학 대학원 주도의 T-PBL+ 를 수행으로 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지역의 민‧군ICT지능화융합 산업에 적합한 인재양성을 위해 민‧군ICT지능화융합 관련 연구를 추진하고 각 세부과제는 지역기업이 함께 참여하여 산학연 협력연구를 수행
AI-Bridge1), RPC Track2), T-PBL+3)을 기반으로 지역 기업 및 기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인재양성, 논문 및 특허, 기술이전 등의 연구결과를 도출

연구 기간

2021.7.1 ~ 2027.12.31

연구 분야

민‧군 ICT지능화융합 분야(모바일, 로봇, 메디컬, 신뢰성)의 석‧박사급 고급 인력 양성l
공동 기술개발을 통해 기술 국산화 및 지식재산권 확보를 통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 추진
민‧군 융복합관련 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관계 기반 민·군 ICT융합 기술 발굴 및 상생협력

연구 인력

대학 교수 참여 학생

재직자

학위과정

전임

연구원

산학협력
중점교수
산업체

기타

(연구원,연구교수)

합계
학부 석사 박사
17 3 55 36 42 5 1 20 13 192
참여기업
한화시스템 기업 소개
  • 첨단 방산전자와 IT분야의 스마트 기술을 갖춘 글로벌 토털 솔루션 기업
사업 영역
  • 방산 부문 : 40년 이상의 육·해·공·우주·사이버를 아우르는 첨단기술과 노하우를 보유한 방산전자 국내 1위기업으로, 대한민국 스마트 국방의 미래를 선도하고 있음
  • ICT 부문 : 제조, 방산, 금융, 서비스, 교육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IT 종합 솔루션을 제공해온 전문기업으로, 고객사의 비즈니스 혁신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선도하고 있음
LG유플러스 기업 소개
  • LG유플러스는 1996년 7월 11일 설립 이래 현재까지 고객의 삶에 의미있는 변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이동통신사업과 초고속 인터넷, VoIP(데이터 음성통화), IPTV서비스로 구성된 결합서비스와 각종 솔루션 및 데이터 서비스 사업을 꾸준히 발전시켜 왔으며, 2012년에는 세계 최초로 LTE전국망을 구축해 초고속,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5G 및 IoT시대에도 고객에게 여유와 행복, 편의를 가져다 줄 새로운 생활가치를 만들어 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사업 영역
  • LG유플러스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을 중심에 두고 ‘모바일(Mobile)’과 ‘홈(Home)’, ‘IoT’, ‘기업(Corporate)’으로 사업부문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부문은 최적화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유무선 결합 서비스를 상품화하고, 고객의 생활에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수준 높은 컨텐츠를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 모바일 : LTE 기술 상용화를 선도한 LG유플러스는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맞춤형 서비스로 데이터 통신 분야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 있습니다.
  • 홈 : IPTV와 인터넷 전화를 중심으로 성장한 홈서비스는 다양한 생활 정보 및 편리한 사용으로 고객 편의를 극대화합니다.
LIG넥스원 기업 소개
  • LIG넥스원은 대한민국 대표 순수 전문·종합 방위산업체로 1976년 금성정밀공업(주) 설립 이래, 지난 40여년 동안 정밀유도무기 등 방위산업 전 분야에 걸친 최첨단 무기체계를 연구개발·생산하며 자주국방에 기여해 왔습니다. 고객만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기업정신으로 모든 이해관계자와 사회에 최고의 가치를 제공하며 미래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기업으로 힘차게 나아가겠습니다.
사업 영역
  • 정밀유도무기,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 항공전자, 전자전, 무인/로봇, 사이버전/M&S/고에너지, 군수지원분야 등
한슬 기업 소개
  • 한슬은 산업처리공정용 자동제어장비 제조업을 목적으로 1989년 6월 개인 기업으로 설립되어 1997년 5월 법인 전환 된 기업으로 자동화 S/W와 H/W 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사업 영역
  • VISION 관련 보드, SERVO MOTOR 제어용 SYSTEM, DEVICENET 관련 BOARD 등
㈜테라시온바이오메디칼 기업 소개
  • 자체기술을 통해 인체용 국소지혈제를 개발 하고 있는 기업으로서 일부 제품은 사업화에 성공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음. 현재 국소지혈제 시장의 주류 제품의 단점을 극본할수 있는 제품을 개발중에 있음
사업 영역
  • 동물용 지혈제 개발기술을 바탕으로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한 의료용 수렴성 지혈제 및 국소 지혈제를 개발하여,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지혈제 시장에서 차별화된 지혈제로써 수입대체 및 국내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목표함
㈜원바이오젠 기업 소개
  • 생체친화성 의료용 고분자를 연구개발하여 의료용 바이오 신소재 개발 분야 전문회사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는 기업으로서 2007년도부터 금오공대 권오형 교수와 공동으로 20개 이상의 기술개발과제를 수행하며, 다양한 창상피복제 상품군을 사업화하여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음
사업 영역
  •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드레싱의 개발, 메디터치 등 환부용 드레싱
㈜엔에스랩 기업 소개
  •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 전문회사
사업 영역
  • 국방시스템소프트웨어, 블록체인 솔루션, 특수목적 메타버스 플랫폼, 소프트웨어 시스템개발 등
㈜비엠텍시스템 기업 소개
  • 시스템 개발 및 ICT인프라 구축
사업 영역
  • 주요보안시설 드론방어시스템, API Management시스템 SAP모듈, Agent PTT 연계 어플리케이션 등
㈜메타하트 기업 소개
  • 심전도, PCG 및 PPG를 포함한 실시간 및 동시 생리학적 데이터를 측정하고 실시간 및 원시 심전도, PPG 및 PCG 신호 데이터에서 예측 혈압을 제공
사업 영역
  • CNN-LSTM에서 심전도, PPG 및 PCG 기반의 혈압을 추정하는 머신 러닝 모델
㈜골든크로우 기업 소개
  • 무기계 항균소재 개발 및 적외선 스텔스 소재 개발
사업 영역
  • 다재내성 세균감염 광 복합 치료제 개발
  • IRA (열) 차단 소재 개발
연구목표

혁신교육과 연구를 통한 민·군 ICT지능화융합분야 고급인력양성 및 교육플랫폼 구축

세부 과제

  • 01
    • 민·군 응용을 위한 5G 및 Beyond 5G를 위한 무선 이동 통신 기술 개발
      • 6G를 위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 원천 기술 연구
      • 실시간 정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차세대 무선 이동 통신 요소 기술 개발
      • 수색 및 정찰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 드론 제어 기술 개발
      • 드론 주변 장애물 인식 및 장애물 회피 비행 연구
      • AR/MR 기반 다중 UAV 동시 관제 시스템 개발
  • 02
    • 대규모 IoT 장비 관리를 위하여 Light-weight DDS 설계 및 개발
      • DDS기반의 실시간 통신을 위한 디스커버리 기법 설계 및 개발
      • 드론을 엣지 노드로 이용한 RFID 인식 기법 연구
      • 엣지 컴퓨팅 기반의 군수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개발
      • 군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모니터링 도구 설계 및 개발
      • 대용량 데이터 관리 기법 연구
  • 03
    • 강화학습 기반의 드론 제어 알고리즘 개발
      • 실제 환경과 유사한 드론 및 환경 인지 센서의 모델 도출
      • 실제 환경과 유사한 학습 시뮬레이션 구축
      • 개발된 알고리즘의 실제 환경에서의 문제점 극복을 위한 학습 방법 연구
  • 04
    • 유한요소해석 기반의 전동기 디지털 트윈 모델 개발
      • 고정자 권선 단락 고장 구현 및 분석
      • 딥러닝을 이용한 단락 고장의 진단 및 분류 알고리즘 개발
      • 단락 고장 진단 및 분류에 적합한 딥러닝 아키텍처 및 피쳐 추출 연구 및 개선
  • 05
    • 센서 인터페이스를 위한 고해상도 저전력 ROIC 연구
      • 전원 및 외부 노이즈에 둔감한 특성을 가지는 IoT용 센서 ROIC를 위한 16비트, 300μW 이하, 그리고 500kHz의 입력 대역폭을 가지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analog-to-digital converter)
  • 06
    • IoT용 SUN의 데이터 송수신기 및 동기를 위한 클록 시스템 연구
      • SUN용 센서 노드의 wake up의 주기 시간을 늘림으로 시스템의 복잡성과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하기 위해 SUN에 사용되는 클록 발생기의 frequency tolerance를 10 ppm 이하로 구현
  • 07
    • 생채신호를 이용한 AI기반의 원격 로봇 제어시스템 개발 및 연구
      • Electromyogram (EMG)를 이용한 팔 움직임과 부하 추정 알고리즘 연구
      • EIT를 이용한 손과 팔의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 연구
      • 모션 추정 알고리즘 융합 및 로봇 제어 시스템 개발
      • AI 기반 저전력 상황 감지/인지 SoC 연구
  • 08
    • 무기계 항균소재 및 화생방 SERS 센서 및 IR 스텔스 소재 기술을 상품화
      • 산화아연(ZnO)을 기반으로 한 무기계 항균물질 개발
      • 창상 피복재용 무기계 항균제 개발
      • 고감도 SERS 물질 개발
      • 적외선 스텔스 물질탐색
  • 09
    • 천연고분자를 중심으로 한 민·군 겸용 급속지혈소재를 개발 및 센서 및 무선통신기술을 하이브리드화한 스마트 드레싱재를 공동 개발
      • GNR 대용량 합성기술 개발
  • 10
    • 군내 장병들 헬스케어를 위해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비접촉 바이탈 사인 모니터링 시스템 및 전장에서의 건강신호 또는 멘탈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EEG/ECG/PPG 기반 심전도/뇌파/혈압/스트레스지수 등을 모니터링 할수 있는 웨어러블 시스템을 개발
      • Ming-Zher Poh" 등이 제안한 BVP(Blood Volume Pulse) 방법을 기반으로 비접척방식으로 생체알고리즘을 구성
      • EEG/ECG/PPG 신호를 활용한 IoT기반의 웨어러블 헬스 모니터링 시스템
  • 11
    • 웨어러블 기기를 위한 반도체 센서를 포함하는 SoC 및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와 카메라 영상 정보를 실시간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SoC 개발
      • 전력 발생 및 이차전지 전력 소모 제어용 센서 소자 기술 개발
  • 12
    • 스마트 배터리를 보조하는 전력 발생 및 전력 소모 제어용 단결정 소재와 플렉서블 복합체 소재 개발
      • 고성능 이차전지용 다차원(2차원 층상 및 3차원 채널) 결정구조를 갖는 다양한 소재 제조
      • 고용량 리튬 및 나트륨 이온 이차전지용 화합물/탄소 나노복합체 소재 제조 및 반응메커니즘 파악
      • 고효율 에너지 변환(기계-전기)을 위한 고성능 무연계 단결정 및 복합 소재 개발
  • 13
    • 스마트배터리용 나노소재의 역학특성 및 수명예측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민·군 ICT 기반 플렉서블 기기의 수명 및 실시간 복합 환경 제어에 기반한 신뢰성 확보 기술을 개발
      • 민·군 ICT 기기용 에너지 저장 및 변환용 소재의 극한 환경에서의 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 군사용 다기능 하이브리드 나노 소재를 활용한 고성능 배터리 구현 기술 개발
  • 14
    • 시스템 고장 진단 및 예지
      • 소자 관점에서의 고장 분석
      • 유사체계의 고장과 정비에 대한 DB(Data-Base) 구축 및 시험 환경 구성
      • 회로내의 기계적 구조물 관점에서 고장 분석
  • 15
    • 실감형 원격 제어 시스템
      • 팔 및 손목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다자유도 착용형 마스터 장치 개발
      • 힘 및 토크, 진동 전달을 위한 스마트 햅틱 액추에이터 개발
      • 손가락 동작 인식이 가능한 햅틱 글러브 개발
      • 마스터-슬레이브 연동 제어 알고리즘 개발
  • 16
    • 전투/재난 안전성 예측 기술
      • 육군 병영/해군 함정 내에서 평상/사고 발생/전쟁 발발 시 병사들의 유동 해석을 위한 병목 구간에서의 양방향 보행 유동에 관한 시뮬레이션 기초 기술 개발
      • 육군 병영 및 해군 함정과 같은 밀폐 개별 공간/다층 연결 공간에서의 전염병 전파에 관한 이산요소법 시뮬레이션 기초기술 개발
      • 모래지 및 스톤 치핑과 같은 극한환경에서의 군용 차량 바퀴의 운용성 개선에 관한 연구
      • 이산요소법을 이용한 3D 프린터, 호퍼, 분쇄기, 기력수송장치 등에서의 각종 분말 유동 해석 및 실험 기술 개발

연구수행 방법

 


 

기대 효과

  • 경제/사회적측면
      • 지역기업 수요 중심 산학협력과 민·군 ICT지능화융합분야 고급인력양성
      • T-PBL+기반 인력양성 교육 플랫폼 구축을 통한 지역기업 인력 수급 선순환 체계 구축
      • T-PBL+기반 사업화 및 기술 발굴로 창업 및 지역 고급 일자리 창출
      • 연구실 창업 및 청년창업을 통한 일자리 확보
      • 재직자 교육을 통한 지역 정착형 인력양성 및 지역 산업 활성화
  • 산업/기술적측면
      • T-PBL+프로그램과 기업 수요 기반 산학협력 모델로 민·군 ICT지능화융합기술 개발활성화
      • 국방특화 지능화융합 R&D 인력양성 및 기술이전으로 지역 중소/중견 기업의 경쟁력 확보
      • 민·군 ICT지능화융합분야 지역생태계 조성 및 성장동력 확보
      • 대표적 성과의 확장(국방규격실, T-PBL+의 고도화, 기술이전 확대, 연구실창업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