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업

Participating Project.

5G/6G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연구센터

중앙대학교 센터장 : 조성래 교수

센터소개

설립 목적

차세대 통신·네트워크 핵심 요구사항인 8U(초공간·초대역·초신뢰·초연결·초저지연·초정밀·초지능·초효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산·학·연 컨소시움을 통한 기반 기술 개발 및 지적재산권 확보와 표준화를 추진,궁극적으로 5G&6G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융합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연구 기간

2022-07-01 ~ 2029-12-31

연구 분야

6G 이동통신, 6G 종단간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반 통신, 시맨틱 통신, 8U 통신 네트워크 기술

연구 인력

대학 교수참여 학생전임연구원

산학협력

중점교수

산업체

기타

(연구원,연구교수)

합계
학부석사박사
1093332---286

참여기업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기업 소개
  • LTE Advanced Pro/5G NR/5G NR Advanced, Wi-Fi 6/7/8, 멀티미디어 코덱 표준기술 및 표준특허, 표준기반 상용 솔루션 개발 역량 보유
  • 3GPP/IEEE/MPEG 표준기술 제안 620+/표준반영 220+/누적특허 2000+ 보유
  • 과기부 ICT R&D – 차세대 무선랜 Wi-Fi 6, Wi-Fi 7, 차세대 이동통신 LAA(Licensed Assisted Access) 표준개발 정부과제 최종평가 ‘우수’ 선정
사업 영역
  • 차세대 무선통신/방송 표준개발 및 원천특허 수익화, 표준 응용 솔루션 상용화
연구목표

2030년까지 초공간 (U-S: Ultra-Space), 초대역 (U-B: Ultra-Bandwidth), 초신뢰 (U-R: Ultra-Reliability), 초연결 (U-C: Ultra-Connectivity), 초저지연 (U-L: Ultra-Low-Latency), 초정밀 (U-P: Ultra-Precision), 초지능 (U-I: Ultra-Intelligence), 초효율 (U-E: Ultra-Efficiency)을 지향하는 차세대 통신·네트워크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5G-Advanced를 넘어 6G 및 7G 시대를 대비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

세부 과제

  • 01
    • U-SBCI 안테나 기술
      • 서브 테라헤르츠 대역 기초 연구 및 기술 선행연구
      • 서브테라헤르츠(Sub-Thz) 대역에서의 반사 표면 설계 및 제작
      • 초지능 반사 표면 설계 기술 연구
      • 밀리미터파 대역 초지능형 표면 설계
      • 서브 테라헤르츠 대역 지능형 반사 표면 설계
  • 02
    • U-BCLE 무선 접속 기술
      • 셀룰러 네트워크 내에서의 D2D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 기법 개발
      • 심층강화학습 기반 D2D 무선 자원할당 기술 연구
  • 03
    • U-RLPI 네트워크 기술
      • (U-RLPI 네트워크 기술)유저 및 트래픽별 단계 레벨 Classification
      • (U-RLPI 네트워크 기술)유저 및 트래픽별 자원 예측 ML 모델 설계
      • 네트워크 자원 식별 알고리즘 개발
      • 사용자 단말 특성별 기계학습 기반 네트워크 자원관리 기술 개발
  • 04
    • U-RPIE 네트워크 관리 기술
      • 지능 초정밀 네트워크 관리 기술 선행 연구
      •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통신 보안 기술 선행 연구
  • 05
    • 5G/6G 차세대 통신네트워크 표준 기술 및 핵심 플랫폼 개발
      • 실내 다중 전파 측정을 위한 측정 환경 구축 및 지능형 반사 표면 플랫폼 개발
      • 지능형 반사 표면 플랫폼 구축을 위한 공간 배치도 후보 설정 및 전파 시뮬레이션
      • 실내 다중 전파 측정을 위한 지능형 반사 표면 플랫폼 구축

연구수행 방법

 


 

기대 효과

  • 경제적 파급효과
      • 네트워크 자원의 희소성으로부터 자유로워짐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무선통신 기기와 서비스가 개발될 기회를 창출하며 이를 통한 새로운 통신 산업 성장의 기회 제공
      • 전 세계 스마트 시장 중 가장 크고, 활성화된 시장을 가진 우리나라의 레퍼런스 확보를 바탕으로 전 세계 네트워크 산업의 시장 주도
      • 관련 원천기술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확보를 통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차세대 통신·네트워크 시장에서 큰 경제, 산업적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차세대 통신·네트워크 기반 실감 콘텐츠 처리기술, 초공간/초연결 서비스 제공 핵심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현재 인프라가 가지는 호환성 이슈 등 한계 상황을 극복하여 6G가 요구하는 8U 서비스 대중적 확산 기여
  • 인재양성 파급효과
      • 본 과제로부터 양성된 우수 인재들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인 차세대 5G/6G 통신·네트워크 기술을 고도화시키는 핵심 인력으로 성장하여 초지능사회 구성에 크게 기여함
      • 특히, 차세대 통신·네트워크 기술의 고도화로 관련 신산업 분야의 핵심 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지녀 향후 학계나 산업계 쪽에서 국가적으로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또한, 본 센터에서의 기반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서비스 기술들을 등장시킬 수 있는 차세대 핵심 인력이 배출되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시장에 큰 파급효과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