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업

Participating Project.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에너지 시티 산업 인프라 연구센터

중앙대학교 센터장 : 고중혁 교수

센터소개

설립 목적

디지털 트윈즈 기반의 스마트 시티 설계와 진행을 위하여, 에너지 기반의 각종 자료를 모집/ 분석하여 비즈모델에 적용하며, 에너지 거래 기반, 디지털 트윈즈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시티를 구축, 각종 에너지 기반의 자료를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연구하고, 신재생에너지 기반 디지털 트윈 비즈 플랫폼 구현과 스마트 에너지 도시 분야의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개발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함

연구 기간

2020-07-01 ~ 2027-12-31

연구 분야

디지털 트윈즈 기반의 스마트 시티 설계와 진행을 위하여, 에너지 기반의 각종 자료를 모집/ 분석하여 비즈모델에 적용하며, 에너지 거래 기반, 디지털 트윈즈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시티를 구축, 각종 에너지 기반의 자료를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연구

연구 인력

대학 교수참여 학생전임연구원

산학협력

중점교수

산업체

기타

(연구원,연구교수)

합계
학부석사박사
8332211-5272

참여기업
RPE 기업 소개
  • 인쇄전자 공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Blanket을 개발하여 전자 제품을 제조하는 기본 방식인 Photo 공정에서 인쇄전자 공정으로 공정의 개발을 위해 연구한다.
사업 영역
  • PV 데이터 분석 시스템 설계 기술 보유
  • Flexible PV 제품 생산
  • 다양한 센서의 광학적 데이터를 실시간 계측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기술 보유
IDS 기업 소개
  • EV용 반도체 제조
  • IoT-EV 디바이스 설계 및 제조
사업 영역
  • Energy harvesting을 활용한 소형기기 비상전력 소자 제조 기술 보유
  • Carbon-free 전력 생산용 소자 제조 기술 보유
연구목표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고도화된 동적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에너지 시티 비즈 플랫폼 기술을 설계/개발 할 수 있는 고급인력양성

세부 과제

  • 01
    • 스마트 에너지 시티에 대한 접근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최적화 모델링 기술 개발
      •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에너지 시티 인프라 구현을 위한 기반 마련
      • Entity 레벨에서 에너지 관점의 Energy IoT, Eco System 연구 및 디지털 트윈 디자인 분석 기술 연구
      • Entity 레벨에서 데이터 관점의 최적화 방안 연구
      • 데이터 기반 Entity 모니터링 및 상태 분석 기술 연구
      • 물리적 Asset과 디지털 트윈의 통합을 위한 실행 기술 연구
  • 02
    • 데이터 기반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한 스마트 에너지 시티 자립 모델 구축 및 에너지 프로슈머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발굴
      • 스마트 에너지 시티 인프라 구축을 구체화 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및 연구
      • Entity IoT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기반 시뮬레이션 개발 및 데이터 유형 분류 및 활용 방법 연구
      • 디지털 트윈을 위한 Entity 분석 및 설계
      • 스마트 시티 적용에 대한 디지털 트윈 디자인 및 분석 기술
      • 디지털 트윈을 위한 데이터 유형 분류 및 활용
  • 03
    •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에너지 시티 산업 新시장 확대를 위한 비즈니스 플랫폼 모델 연구 및 결과를 토대로 한 기술 사업화를 목표
      • 1단계, 2단계에서 진행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를 사업화 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 및 연구
      • 스마트 에너지 시티 비즈 플랫폼 고도와 및 산업 인프라 평가 및 검증
      • 소규모 도메인별 데이터 수집 및 관리 기술 연구
      • 도메인별 에너지 소비 모델링 연구

연구수행 방법

 

 

 

기대 효과

  • 기술적 기대효과
      • 스마트 에너지 시티를 통해 인프라 추가 시 최적의 규모, 환경, 용도 등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하여 생산 효율 극대화
      • 실시간 데이터 and 이력데이터 확보, 머신러닝(기계학습) 기술의 융합
      • 스마트 시티 내 에너지 수요의 빅데이터를 통한 에너지 관리분야 기술의 확장 및 기술공유
  • 산업적 기대효과
      • IoT-based Digital Twin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내 Entity 및 System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상 수명을 시뮬레이션하여 효율적으로 교체 주기 계획과 인프라를 확정 시킬 것임
      • 스마트제조 R&D로드맵에서는 제조업의 고부가 가치화, 생산 시스템의 혁신, 산업구조 고도화 등을 위한 기술 개발에서 디지털 디윈을 협력기간과 인력 양성을 통하여 산업에 적용 및 활성화 진행하며, 네트워크를 통한 내·외부적 공유를 진행할 것임
      • 스마트 시티 내 에너지 수요/공급 등의 빅데이터를 통한 에너지 관리 및 에너지 수요와 공급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확립시켜 산업 활성화와 스마트시티 에너지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기업에 공급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