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업

Participating Project.

스마트시티 지능형 헬스케어 연구센터

고려대학교(세종) 센터장 : 황한정 교수

센터소개

설립 목적

멀티모달 생체데이터 활용 초거대 AI기반 스마트시티 헬스케어 기술 개발 및 테스트베드 기반 실증을 통한 유용성 검증, 헬스케어ICT 글로컬 인재양성을 목표로 함

연구 기간

2023-07-01 ~ 2030-12-31

연구 분야

뇌파/심전도 기반의 건강생체지표 추정, 혈액을 이용한 면역진단, 타액/대변/소변 등의 생체 검체 기반 체외진단 및 장건강 멀티오믹스 기반 생체지표 검출 등 침습/비침습적 생체정보 기반 건강바이오마커 검출 기술 확보 및 진단 디바이스 개발, 핵심 기술들의 융합 및 GPT기술과 결합을 통한 초거대 AI 기반 스마트시티 헬스케어 기술 개발

연구 인력

 

대학 교수참여 학생전임연구원

산학협력

중점교수

산업체

기타

(연구원,연구교수)

합계
학부석사박사
12236204-1277

 

참여기업
충북대학교병원 인공지능센터 기업 소개
  • 인공지능 기반 신생아 중환자의 기관 삽관 적응증 예측 모델 보유
  • 기계호흡 이탈 가능성 조기예측 모델 보유
  • AI 기반 영상합성 성능 향상방법 기술 보유
사업 영역
  • 바이오 헬스케어, 인공지능 기반 진단
비웨이브(주) 기업 소개
  • 생체신호(뇌파 및 맥파)를 활용한 AI 기반 정신건강 평가,관리 및 주요 정신질환 진단, 아형분류 기술 보유
  • 뇌파(EEG)를 기반으로 한 질병 특이적 바이오마커 개발 기술 보유
사업 영역
  • 바이오 헬스케어, 정신 의학 및 심리 상담
모션디티 기업 소개
  • 개인 맞춤형 근활성도 & 근피로도 실시간 모니터링 플랫폼 보유
  • 실시간 근전도 특성 벡터 추출 기술 및 근피로도 추정 기술 보유
사업 영역
  • 바이오 헬스케어, 웨어러블 피트니스
메타이뮨텍 기업 소개
  • AI 기반 단일세포 수준의 활성도 분석 기술(Lens-free Shadow Imaging Technology, LSIT) 보유
  • 면역세포 활성 검사를 위한 디지털 진단 플랫폼 ‘Cellytics NK’ 보유
사업 영역
  • AI 기반 단일세포 수준의 활성도 분석 기술(Lens-free Shadow Imaging Technology, LSIT) 보유
  • 면역세포 활성 검사를 위한 디지털 진단 플랫폼 ‘Cellytics NK’ 보유
㈜픽셀로 기업 소개
  • 안구나이 측정 알고리즘 기술 및 아이트래킹 기반 동공 추적 기술 보유
  • 인공지능 기반 노안 조절력·시력·황반변성 검사 기술 보유
  • 인공지능 기반 눈건강 자가진단 키오스크 제품 보유
사업 영역
  • 디지털 아이케어, 바이오 헬스케어
그레비티 기업 소개
  • 소변을 이용한 포터블 형태의 뇨당 측정 센서 제품 보유
  • 임피던스 분석을 이용하는 화학 물질 검출 기술 보유
  • 초박형, 초전도, 열전 특성이 결합된 all-in-one 2차원 반도체 소재와 플라즈모닉 나노구조체를 결합하여 제작한 직접검출형 방사선센서 제작 기술 보유
사업 영역
  • 바이오 헬스케어, 체외 진단 기기
  • 전기화학/광학센서
루먼랩 기업 소개
  • AI와 동영상 촬영에 기반한 객관적인 아동 발달 수준 측정 기술 보유- 영역별 아동 발달 증진을 위한 코칭 콘텐츠 보유- 데이터 비식별화 기술 보유
  • ABA기반 아동 문제행동 치료를 위한 콘텐츠 보유
사업 영역
  • 아동 발달 수준 진단 및 평가
  • 문제행동 아동 디지털 치료기기
더바이오인포메틱스 기업 소개
  • 인공지능 기반 생물학적 데이터 정보 추출 및 포괄적 데이터 분석 기술보유
  •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전사체학 및 대사체학 등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장비 보유
  • 생물 정보학 도구 및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맞춤형 소프트웨어 개발 서비스 기술 보유
사업 영역
  • 바이오 헬스케어
  • 바이오 인포매틱스
헥토헬스케어 기업 소개
  • 개인 건강정보 및 AI 기반 개인맞춤형 영양제와 헬스케어 솔루션 ‘또박케어’ 보유
  • -대변으로부터 추출된 DNA 기반 장내세균분석 서비스 플랫폼 ‘MYBIOME’ 보유
  • 유산균 기반 면역력 향상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런칭(‘드시모네’, ‘김석진LAB’)
사업 영역
  • 바이오 헬스케어
  • 건강기능식품 원료 개발, 유통, 판매
시즌 기업 소개
  • 웹 서비스 및 사용자 인증 인공지능(머신러닝/딥러닝) 인프라 및 클라우드 보유
  • 오픈소스 위젯형 웹서비스 개발 프레임워크 ‘Wiz’ 보유
  • 인공지능 기술 산업 분야 적용을 위해 개발된 웹 기반 워크플로우 엔진 ‘DIZEST hub’ 보유
사업 영역
  •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홈즈에이아이 기업 소개
  • 부정맥 질환을 위한 검사-진단분석-디지털 치료제로 이어지는 전주기 건강관리 플랫폼 개발·구축 중
사업 영역
  • 바이오 헬스케어
  • 인공지능 기반 진단
  • 디지털 치료제
팜킷 기업 소개
  • 온톨로지 및 머신러닝을 이용한 사용자 음식취향 분석 기반 개인화 추천 방법 기술
  • -AI 기반 Food Taste Analytics 기술 보유 및 음식 취향 분석, 메뉴 추천 서비스 앱 ‘미식큐’ 보유
  • 초 개인화 AI 기반 푸드 큐레이터 시스템 ‘푸드큐’ 보유
사업 영역
  • 푸드 커머스
  • 큐레이션
에이트스튜디오 기업 소개
  • 인공지능 기반 보행 분석 기술 보유
  • 보행 관련 질병 진단을 위한 ‘MEDISTEP’ 키오스크 제품 보유
  • 동작인식 AI가 내장된 키오스크/앱 기반 파킨슨병 조기진단 솔루션 ‘ParkinSense’ 보유
사업 영역
  • 바이오 헬스케어, 시니어 헬스케어
연구목표

멀티모달 생체데이터 활용 초거대 AI기반 스마트시티 헬스케어 기술 개발 및 헬스케어ICT 산학협력강화형 창의·혁신 인재 양성

세부 과제

  • 01
    • 뇌파 및 심전도를 이용하여 비만,당뇨,면역력,장건강 등 다중 건강생체지표를 추정할 수 있는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
      • 외파/심전도 기반 다중 건강생체지표 추정 머신러닝 알고리즘 개발
      • 비만/당뇨질환 동물모델의 다중 건강생체지표 추정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
      • 휴먼 모델 다중 건강생체지표 추정 알고리즘 개선 및 신뢰성 검증(실증)
  • 02
    • 면역세포의 신속자극 및 활성도 측정기술개발을 통한 디지털 개인 면역진단 시제품 개발 및 체외진단 의료기기 인증
      • 홀로그램 기술 기반 디지털 면역 진단 플랫펌 시작품 제작
      • 디지털 면역진단 시제품/전용 키트 제작 및 체외진단 의료기기 인증을 통한 성능검증 및 확장 기술 개발
      • 디지털 면역진단 기술 센터 구축 및 신증 테스트
  • 03
    • 비침습 액체생검(타액,소변) 샘플 기반 고정확도 비색 페이퍼 바이오센싱 플랫폼 개발
      • 타액/소변 내 바이오마커 측정용 비색 바이오센서 개발 및 전이학습 기반 인공지능 알고리즌 성능 향상
      • 단요/비만 진단용 비색 바이로센서 개발 및 인공지능 성능 향상(실증)
  • 04
    • 분변 분석을 통한 징건강 바이오마커 평가 및 장 균총 정밀 제어 솔류션기반 개인맞춤 식이설계시스템 개발
      • 분변 구성 유익균 중장균 유해균의 대사 특성 연계 장건강 지표 발굴
      • 인체 장관계 구성 미생물의 개인맞춤형 공배양 플랫폼을 활용한 균총의 식이 반응 DB 구축 및 정밀제어 기술 개발
      • 분변 분석 결과 기반 장건강 평가 및 식이 추천 연계 알고리즘 개발(실증)
  • 05
    • 멀티모달생체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GPT 기술 개발
      • 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GPT 기반 AI 모델 구현
      • 데이터 플랫폼의 사용자 편의성 고도화 및 지능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HI-GPT 기술 개발
      • 실증을 통한 사업화 수행

연구수행 방법

 

기대 효과

  • 지역산업
      • 지역 산업 경쟁력 확보
      • 스마트시티 헬스케어ICT 기술 생태계구축
      • 지능형 헬스케어 분야 고급 인재양성 및 지역보급
  • 과학기술
      •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헬스케어 연구개발 선도
      • 의료다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한 지능형 헬스케어 연구개발
      • 각 세부별 헬스케어ICT 핵심 요소 기술 개발
  • 국가경제
      • 헬스케어ICT 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국가경쟁력 확보
      • 세계시장 2,556억 달러의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시장 점유율 확보
      • 고부가가치, 기술집약, 미래유망산업 지역경제 개편
  • 사회복지
      • 일상생활 기초건강 및 만성질환 관리를 통한 의료비용 절감
      • 의료서비스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의 불균형 해소 및 공중보건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