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업

Participating Project.

양자센싱 융합기술 연구센터

UNIST 센터장 : 김대식 교수

센터소개

설립 목적

UNIST 양자센싱 융합기술 연구 센터는 극한 양자 제어가 가능한 양자-거시계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양자 센싱 원천 기술과 함께 이를 의료, 바이오, 가스 센싱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응용 기술을 개발하고, 이 기술 개발 과정을 통해 양자 기술 관련 고급 인력을 양성하고 배출하기 위하여 설립함

연구 기간

2023-07-01 ~ 2030-12-31

연구 분야

양자 자기장 센싱, 양자 힘 센싱, 양자 얽힘 광원 및 검출기 등과 같은 양자 센싱 원천 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내시경 기술, 이미징 기술, 칩-소자 집적 기술 등 거시계 센싱 인터페이스 기술을 병행하여 개발하고 이 두 기술을 융합하여 최종적으로 실제 산업에 응용 가능한 의료, 바이오, 화학 가스 센싱등 양자 센싱 응용 기술을 개발함.

연구 인력

 

대학 교수참여 학생전임연구원

산학협력

중점교수

산업체

기타

(연구원,연구교수)

합계
학부석사박사
9-10214---44

 

참여기업
연구목표

양자 센싱 원천 기술 개발 및 의료, 바이오, 가스 센싱 등 다양한 산업응용 가능성 제시
실전문제형 및 융합형 양자 센싱 전문 인력 양성

세부 과제

  • 01
    • 의료용 양자 센서 기술 개발
      • 광섬유 결합형 고체 점결함 소자 및 공진기 제작 기술 소개
      • 광섬유 기반 양자 자기장 센서와 광학, 초음파 영상 기능이 통합된 융합형 endomicroscopy 플랫폼
      • 핸드헬드 광음향 스캐너 (창의 자율과제 결과물)
      • High-frequency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소자
  • 02
    • 양자 센서칩 개발
      • 이차원 물질 기반 양자 광원 개발
      • 멤브레인 마이크로파 광역학계 설계 및 제작
      • 3D 캐비티 기반 마이크로파 광역학계의 상온 동작 특성 검증
      • 양자 광학 간섭계
  • 03
    • 화학 양자 센서 개발
      • PPLN 비선형 광학매질 설계 및 제작
      • 비선형 광학 매질 PPLN 기반 파장 얽힘 광자쌍 생성 및 특성 분석 시스템 구축
      • 다중양자우물구조 기반 비선형 매질 설계 및 제작
  • 04
    • 중적외선 영역 양자 광원/광검출기 소자 개발
      • BZO/BSO 다중양자우물구조 기반 SPDC 양자얽힘 광자쌍 생성 소자 개발
      • 높은 TCR 상전이 물질 합성 및 금속 나노 틈 구조물과 결합한 고감도 광검출기 개발

연구수행 방법

 

기대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