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업

Participating Project.

차세대 스마트팜 ICT 융합기술 연구센터

공주대학교 센터장 : 김락우

센터소개

설립 목적

차세대 스마트팜 ICT 융합기술 연구센터는 농업 분야의 원천기술과 활용기술을 고도화하여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고자 설립하였다. 현재 국내 농업기술은 선진국 대비 기술격차가 5~6년 정도로 평가되며, 원천기술 부족과 해외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본 연구센터는 농업과 ICT 기술 간의 융합을 촉진하고, 타 산업의 첨단 기술을 농업에 접목하여 스마트팜 기술 발전을 주도할 것이다.

연구 기간

2024-07-01 ~ 2029-12-31

연구 분야

스마트팜 (온실, 식물공장, 축산) 분야

연구 인력

대학 교수참여 학생전임연구원

산학협력

중점교수

산업체

기타

(연구원,연구교수)

합계
학부석사박사
410184---238

 

참여기업
스톤인테그리티 기업 소개
  • 터치 디바이스 기반의 디스플레이 솔루션부터 VR/AR, 웹 서비스까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랙티브 통합 솔루션 개발 업체
사업 영역
  • 소프트웨어개발및공급업
  • 컴퓨터시스템통합자문및구축
  • 자료처리업
  • 전기ㆍ전자공학 연구개발업
에스에스엘 기업 소개
  • AI 데이터 구축 과정에 최적화된 품질관리 SSL의 툴킷을 통해 안전성과 신뢰성이 보장된 AI 데이터 품질관리 및 검증 서비스를 제공 업체
사업 영역
  • 온실용 정밀농업 시스템 개발
  • 소프트웨어 개발 서비스
  • IoT, Cloud, Bigdata, Machine learnig 기반 지능정보 서비스
그린플러스 기업 소개
  • 첨단온실사업, 자연광 병용형, 인공광 식물공장사업, 알루미늄 사업, BIPV용 태양광 사업, 녹화조경사업, 도시경관사업 등 다양한 녹색분야 사업으로 녹색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사업 영역
  • 스마트팜, 식물공장, 알루미늄(소재,부품), 선홈통, 신재생에너지, 도시경관
연구목표

차세대 스마트팜 기술력 확보를 위한 융복합 전문 인력 배출

세부 과제

  • 01
    • 스마트팜 (온실, 식물공장) ICT 기술 활용 에너지 절감형 LED 제품 및 최적 냉·난방운영 시스템 개발
      • 고효율 산화물 및 탄소계 양자점 적용 식물 생장 최적화 LED 소재 개발
      • 스마트팜 (온실, 식물공장) 에너지 절감형 LED 시스템 설계 및 개발
      • 작물 생육 단계별 LED 파장 자동 조절 AI 모델 개발
      • 스마트팜 (온실, 식물공장) LED 기술 실증 및 작물별 최적 냉·난방 운영 시스템 개발
  • 02
    • 스마트 축사 ICT 기술 활용 스마트 센서 및 최적 환경 제어 시스템 개발
      • 산화물계 나노 소재 활용 스마트 축사 전용 스마트 CO2 및 Humidity 센서 개발
      • ICT 기술 적용 스마트 축사 전용 스마트 센서 개발
      • 이미지/영상 기반 이상징후 감지 시스템 개발
      • 스마트 축사 전용 스마트 센서 실증 및 최적 환경 제어 시스템 개발
  • 03
    • ICT 기술 기반 신재생에너지 스마트 농축산시설 적용 연구
      • 농축산시설 적용 친환경 소재 활용 고효율 연료전지 개발
      • 농축산시설 신재생에너지 (연료전지, 태양광, 폐열 등) 냉·난방 열원 복합적 이용 및 패키지화
      • 신재생에너지 활용 농축산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 개발
      • 신재생에너지 농축산시설 적용 현장 실증 및 에너지 이용 효율화 전략 수립
  • 04
    • 스마트 농축산시설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
      • 플랫폼 내 스마트 센서, 연료전지, LED 고장 유무 진단 인터페이스 개발
      • 플랫폼 내 농축산시설 에너지원별 전력 생산량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플랫폼 내 농축산시설 환경 데이터 실시간 모니터링 UX/UI 개발
      • 스마트 농축산시설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

연구수행 방법

 

기대 효과